사진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변호사
최근 2021년도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사이버 성폭력 발생·검거 건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 성영상물 1366건, 아동 성 착취물 2623건,
불법 촬영물 842건 등 4831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검거율은 불법 성영상물 72%, 아동 성 착취물 91%,
불법 촬영물 81%, 전체 84%다. 불법 성 영상물은
2017년 2,043건, 2018년 2,661건, 2019년 1769건,
2020년 1,366건 발생했다. 같은 기간 아동 성 착취물의 경우 603건,
1,172건, 756건, 2,623건으로 집계됐다.
사이버성폭력 발생건수에서 아동 성 착취물이 불법 성영상물을
넘어서는 역전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2021년 1~7월 통계를 보면
아동성 착취물 690건, 불법 성영상물 462건으로 아동 성 착취물 유포
범죄 발생건수가 더 많았다. 불법 촬영물의 경우 2019년부터
통계에 포함됐다. 2019년 165건, 2020년 842건,
2021년 1~7월에는 311건 발생했다.
이처럼 N번방 사건 이후, 대대적인 법 개정이 이뤄졌지만 여전히
암암리에 불법 성 착취물이 유포되고 있는 실정이다. N번방
사건은 미성년자를 포함한 일반 여성들을 상대로 한 성 착취 영상이
해외 모바일 메신저인 텔레그램을 통해 대대적으로 공유·판매된
디지털 성범죄 사건을 말한다.
이른바 N번방 방지법은 국회가 2020년 4월 29일과 5월 20일
통과시킨 법안으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 ▷형법 개정안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 개정안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등이 포함된다.
해당 법안은 2021년 12월 10일부터 시행됐다.
우선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이란 아동·청소년 또는 아동·청소년으로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나 표현물이 등장해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거나 그 밖의 성적 행위를 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필름·비디오물·게임물 또는 컴퓨터나 그 밖의 통신매체를
통한 화상·영상 등의 형태로 된 것을 뜻한다.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라 보호를 받는
자는 19세 미만의 사람을 말한다. 다만, 19세에 도달하는
연도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
아동 청소년이 등장하여 성교 행위, 구강ㆍ항문 등 신체의 일부나
도구를 이용한 유사 성교 행위,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접촉ㆍ노출하는
행위로서 일반인의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행위, 자위 행위
중 어느 하나의 행위를 하거나, 그 밖의 성적 행위를 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성 착취물을 제작했거나 배포했다면 혐의가 인정된다.
구체적인 벌칙으로는 아동ㆍ청소년 성 착취물을 제작ㆍ수입 또는
수출한 자는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 영리를 목적으로 아동ㆍ청소년
성 착취물을 판매ㆍ대여ㆍ배포ㆍ제공하거나 이를 목적으로 소지ㆍ
운반ㆍ광고ㆍ소개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5년 이상의
유기징역, 아동ㆍ청소년 성 착취물을 배포ㆍ제공하거나 이를 목적으로
광고ㆍ소개하거나 공연히 전시 또는 상영한 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실제로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구 아청법을 개정하면서 ‘명백하게’라는
문구를 추가하여 ‘아동·청소년으로 명백하게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나
표현물’이라고 규정한 점 등 구 아청법의 입법 목적과 개정 연혁, 그리고
법 규범의 체계적 구조 등에 비추어 보면, 구 아청법 제2조 제5호의
‘아동·청소년으로 인식될 수 있는 사람이 등장하는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주된 내용이 아동·청소년의 성교 행위
등을 표현하는 것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외모나 신체발육
상태, 영상물의 출처나 제작 경위, 등장인물의 신원 등에 대하여 주어진
여러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회 평균인의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관찰할 때 외관상 의심의 여지 없이 명백하게 아동·청소년으로 인식되는
경우라야 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법원 2014. 9. 24. 선고 2013도4503 판결 참조)
이에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 변호사는 “보통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는 성 착취물 공유나 다운로드는 구매 내역서나 IP주소가
그대로 남아있어 과거의 여죄까지 드러날 수 있다. 디지털포렌식
수사가 진행되면 삭제한 영상을 복구할 수 있어 다른 형사 범죄에
비해 증거 수집이 수월한 편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한수 대표 변호사는 “중앙 서버를 거치지 않고, 개인의 PC와
다른 개인 PC와의 정보를 교환 가능한 P2P 사이트를 통해 불법 영상이
공유되기도 한다. 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해 합법적인 자료를
공유받는 과정에서, 일부 성 착취물 영상이 저절로 공유되거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소지의 고의성에 대해 의심받는 경우가 있다. 만약 영상
소지만으로도 제작 및 배포, 가담 등의 혐의를 받거나 무고한
입장이라면 형사 전문 변호사의 체계적인 법률 조력으로 사건·사고를
타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수집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아래와 같은 이용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보유기간 만료 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목적항목 및 보유기간
2. 수집방법 : 정보주체의 동의
고객님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법률상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입력
해당 게시글은 비밀글 입니다.
온라인 상담시 작성하셨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