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법인 성지
유튜브 바로가기 상담 바로가기 카카오톡 바로가기 디스코드 맨 위로 이동
언론 보도

사내 불륜, 오피스 스파우즈(office spouse)에게 정신적 피해 보상 물을 수 있어

본문

e2fe406c6c26cd0dad34535eecce9f8d_1728552496_2209.jpg
사진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강천규 대표변호사 


최근 조선일보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인 '아무튼, 주말'이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6일까지 성인 남녀 7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기혼자의 30.4%가 불륜을 

해봤다고 응답했다.

불륜을 한 남성과 여성 모두 불륜의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게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거나 

사랑해서'(54.4%)였다. 그 뒤를 이은 것이 '성욕이나 배우자와의 

성관계 불만'(21.3%)으로 1위에 비해 응답자 수가 

절반도 못 미친다. '배우자에게 화가 나서'(7.3%)가 3위를 차지했다.

최근 들어 배우자보다 더 든든하고 가까운 사이인 직장 

내 ‘오피스 스파 우즈(office spous, 사무실 배우자)’가 

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오피스 스파우즈”란 직장 내에서 배우자보다 

더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직장 내 이성 동료를 일컫는 

신조어로 '업무상 부부'나 '사무실 배우자' 정도로 번역된다.

오피스 스파우즈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공통된 

관심사가 있으며, 서로의 고민과 업무를 해결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생활의 활력소가 될 수 있지만, 이성적인 

감정이 개입되면 혼인 관계의 위기와 가정의 해체를 가져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간통죄가 폐지된 이후에도 상간자와 배우자 모두에게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우선 민법 제840조 제1호에서 말하는 ‘부정한 행위’란 

배우자로서의 정조에 충실하지 못한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상식적으로 판단할 때, 배우자 있는 자가 

배우자 아닌 다른 이성과 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되는 

일체의 행위 정도로 볼 수 있다.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민법 제840조 제1호 소정의 

“부정한 행위”라 함은 배우자로서의 정조의무에 충실치 못한 

일체의 행위를 포함하며 이른바 간통보다는 넓은 개념으로서 

부정한 행위인지의 여부는 각 구체적 사안에 따라 그 정도와 

상황을 참작하여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고령이고 중풍으로 

정교능력이 없어 실제로 정교를 갖지는 못하였다 하더라도 

배우자 아닌 자와 동거한 행위는 배우자로서의 정조의무에 

충실치 못한 것으로서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법원 1992. 11. 10. 선고 92므68 판결 참조)

이외에도 판례에서 부정한 행위라고 인정한 사례는 

간통까지는 이르지 않았으나 이성과 한방에서 밤을 지낸 

행위, 이성과 껴안고 입 맞추면서 심하게 어루만지는 행위, 

사창가를 드나든 행위, 배우자의 과실에 의해 자초한 

과음으로 인한 탈선 행위 등이 있다.

그리고 부정한 행위를 이유로 이혼을 청구하려면 배우자의 

부정행위가 있었음을 안 날로부터 6개월, 배우자의 

부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2년 이내에 이혼을 청구해야 

한다. 그러나 그 기간이 도과 하였더라도 부정행위로 인한 

갈등이 이혼소송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다면 부정한 행위 즉 

민법 제840조 제1호로는 이혼 청구할 수 없지만, 제840조 

제6호 즉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다는 

이유로는 이혼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만약 부정한 행위로 이혼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배우자가 

부정행위를 한 상대방을 배우자와 함께 공동피고로 하여 

위자료 청구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혼을 청구하지 않고도 

상간자만을 상대로 하여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있다.

이에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강천규 대표변호사는 “만약 

취업규칙에서 부정행위 자체를 금지하고 있는 회사라면 

사규를 어긴 것이니 징계사유가 될 수도 있겠지만,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노동위원회까지 가게 되면 

부당징계가 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오피스 스파우즈와 

불륜을 저지른 사실이 명백하다면 민법상 재판상 이혼 소송은 

물론 상간자 위자료 소송을 통해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 변호사는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나 정황이 

확인되지 않는 이상 동료 간에 연락을 자주 하고 식사를 했다는 

것만으로 불륜을 저질렀다고 단정할 수도 없고, 외근이나 출장, 

야근 등을 미행하는 것은 불법이다. 이 외에 불륜 현장을 포착한 

사진, 외도를 입증할 수 있는 메시지, 카카오톡 채팅 내용, SNS 

기록, 블랙박스 영상, 차량의 운행 기록, 호텔 명세서 내역 등이 

증거로 활용된다. 다만 불법적인 방법으로 외도 증거를 모아 

제출할 경우, 오히려 형사소송에 연루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가사 전문 변호사의 법률 자문을 받을 시 소장 작성부터 증거 

수집까지 전략적으로 소송에 대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유사건으로 빠른상담 필요 시

SZP 미디어

가사상속
돌봄 책임진 자녀, 상속 기여분 인정받을 수…
이혼상간
위자료 청구 기준, 단순 피해 주장보다 입증…
이혼상간
상간소송, 카톡·DM 증거만으로 가능할까
이혼상간
사기결혼으로 인한 혼인취소 가능할까?
가사상속
[칼럼] 제3자에게 재산이 증여된 경우, 유…
이혼상간
외도위자료, 부정행위가 반복된 정황이 있으면…
이혼상간
엑셀이혼, 혼인관계 실질 상실 시 재판상 이…
공지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법무부 출신 윤성훈 …
이혼상간
양육권소송, 자녀 복리에 따라 단독 양육자 …
이혼상간
협의이혼 진행 시, 양육자 지정·양육비 협의…

SEARCH

빠른상담

빠른상담문의

대표번호
1551-7501 (365일 24시간 상담가능)
긴급상담
010-3313-5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