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법인 성지
유튜브 바로가기 상담 바로가기 카카오톡 바로가기 디스코드 맨 위로 이동
언론 보도

양육 의무 저버린 부모에게 상속권 박탈, 구하라법 2026년 1월 시행

본문

fc58bf261a1d234baefe3ca1ad743213_1740652214_3834.jpg

사진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정진아 파트너변호사


최근 양육 의무를 저버린 부모는 자녀 사망 시 

상속권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이른바 ‘구하라법’(민법 개정안)이 

24년 8월 28일 국회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피상속인에게 부양의무를 다하지 않았거나, 

학대 등 범죄를 저질러 상속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는 

법정 상속인의 상속권을 제한하는 게 골자다. 2019년 구하라가 

사망한 뒤 구하라씨의 오빠가 “어린 구하라를 버리고 20년 동안 

연락이 끊긴 친모가 상속재산의 절반을 받아가려 한다”며 입법을 

청원하면서 논의가 시작됐다.


구씨의 청원은 10만명 동의를 얻어 법제사법위원회로 넘겨졌지만 

20대 21대 국회에서 임기 만료로 폐기됐다. 구씨가 입법 청원한 지 

4년여만인 이날 22대 국회에서 세 번째 발의된 법안이 통과했다.


구하라법은 2026년부터 1월부터 시행된다. 다만 헌법재판소가 

2024년 4월 25일 피상속인의 형제자매의 유류분 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리면서 피상속인을 유기하거나 학대하는 등의 

패륜적인 행위를 일삼는 상속인에게도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하면서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한바 있다. 이를 

려하여 개정민법은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던 2025년 

4월 25일 이후 상속이 개시된 사건에 한하여 구하라법을 

소급하여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로 이번 민법 개정에서는 

피상속인의 형제자매의 유류분 조항인 민법 제112조 

제4호도 삭제되었다.


기존 민법에 따르면, 피상속인이 미혼이며 자녀가 없는 

경우 상속 1순위인 직계비속이 존재하지 않아, 상속 2순위인 

직계존속, 즉 부모가 상속인이 되게 된다. 부모가 이혼한 경우라도 

자녀와의 혈족 관계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이혼한 부모 모두 

생존해 있다면 양쪽 모두 상속인의 자격이 부여됐다. 

그러나 이제 구하라법이 개정되면서 직계존속의 

상속권 상실 사유가 명확히 설시 됐다.


주요 내용은 △피상속인의 상속권 상실 청구 △공동상속인 

등의 상속권 상실 청구 △가정법원의 상속권 상실 선고 

△형제자매 유류분 삭제 등이다.


구체적으로 구하라법은 피상속인에 대한 부양 의무를 

중대하게 위반하거나 중대한 범죄 행위, 또는 그 밖에 

심히 부당한 대우를 한 경우를 '상속권 상실'이 가능한 

조건으로 적시했다. 다만 실제 상속권 상실을 위해서는 

피상속인의 유언 또는 공동상속인 등이 청구하고 가정법원이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청구는 부양의무를 중대하게 

위반했거나 중대한 범죄행위를 저지른 직계존속이 상속인이 

됐음을 안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청구해야 한다. 공동상속인이 

없을 경우 상속권 상실 선고 확정에 의해 상속인이 될 

사람(후순위 상속인)이 이를 청구할 수 있다.


이에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정진아 변호사는 “이번 법 개정으로 

고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형제자매가 유산 일부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한 민법 제1112조 제4호 유류분조항도 삭제됐다. 또 법원에 

직계존속의 상속권 상실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고 설명했다.


정진아 변호사는 “자녀에 대한 부양의무를 저버린 친부모가 

사망 후 재산분할을 요구하거나 보험금을 받아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구하라법을 바탕으로 한 상속권 

상실제도가 입법 되었다. 앞으로 상속권 상실을 청구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상속권 상실의 요건에 해당되는지 

상속권 상실이 정당한지 등에 대하여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만약 복잡한 가족사로 인해 상속 갈등을 빗고 있다면 

가사법 전문 변호사의 법률 조력을 받아 해결을 해야 한다 ”고 전했다.



 

유사건으로 빠른상담 필요 시

SZP 미디어

가사상속
돌봄 책임진 자녀, 상속 기여분 인정받을 수…
이혼상간
위자료 청구 기준, 단순 피해 주장보다 입증…
이혼상간
상간소송, 카톡·DM 증거만으로 가능할까
이혼상간
사기결혼으로 인한 혼인취소 가능할까?
가사상속
[칼럼] 제3자에게 재산이 증여된 경우, 유…
이혼상간
외도위자료, 부정행위가 반복된 정황이 있으면…
이혼상간
엑셀이혼, 혼인관계 실질 상실 시 재판상 이…
공지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법무부 출신 윤성훈 …
이혼상간
양육권소송, 자녀 복리에 따라 단독 양육자 …
이혼상간
협의이혼 진행 시, 양육자 지정·양육비 협의…

SEARCH

빠른상담

빠른상담문의

대표번호
1551-7501 (365일 24시간 상담가능)
긴급상담
010-3313-5502